소아 당뇨 (Pediatric Diabetes)의 원인 및 증상
소아 당뇨는 주로 제1형 당뇨병(Type 1 Diabetes Mellitus, T1DM)과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 T2DM)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소아에서 가장 흔한 형태는 제1형 당뇨병이며, 최근에는 비만율 증가로 인해 제2형 당뇨병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1. 소아 당뇨의 원인
(1) 제1형 당뇨병 (Type 1 Diabetes Mellitus, T1DM)
제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 반응(autoimmune reaction)에 의해 췌장의 베타세포(β-cells)가 파괴되어 인슐린(insulin) 분비가 불가능해지는 질환입니다.
✔ 주요 원인
- 자가면역 반응(autoimmune reaction)
- 면역계가 췌장 β세포를 공격하여 인슐린 생산을 불가능하게 만듦.
- 이 과정은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천천히 진행될 수 있음.
- 유전적 요인 (Genetic factors)
- HLA-DR3, HLA-DR4, HLA-DQ 유전자와 연관 있음.
- 부모가 제1형 당뇨병을 앓고 있다면 자녀의 위험성이 증가함.
- 하지만 직계 가족력이 없더라도 발생할 수 있음 (유전적 요인만으로 발병하지 않음).
- 환경적 요인 (Environmental factors)
- 바이러스 감염 (콕사키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등)이 면역 반응을 촉진하여 베타세포를 공격할 수 있음.
- 비타민 D 부족, 소아기 우유 단백질 노출 등의 환경적 요인이 일부 연관될 수 있음.
- 생후 초기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면역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위험 요소
- 특정 유전적 소인이 있는 경우
- 북유럽, 미국, 한국 등에서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음
-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확률이 높지만, 제1형 당뇨병 환자의 85~90%는 가족력이 없음.
(2) 제2형 당뇨병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소아에서도 비만과 생활 습관 변화로 인해 제2형 당뇨병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과 상대적 인슐린 분비 저하로 인해 발생합니다.
✔ 주요 원인
- 비만 (Obesity)
- 내장 지방이 많을수록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혈당 조절이 어려워짐.
- BMI가 높은 경우 위험 증가.
- 좌식 생활 습관 (Sedentary lifestyle)
- 운동 부족으로 인해 인슐린 감수성이 저하됨.
- 디지털 기기 사용 증가로 인해 신체 활동이 줄어들면서 당뇨 위험 증가.
- 유전적 요인 (Genetic factors)
- 가족력이 강한 영향을 미침.
- 부모 중 한 명이 제2형 당뇨병이면 자녀의 위험이 증가.
- 식습관 (Unhealthy diet)
- 고탄수화물, 고지방 식단이 원인이 될 수 있음.
- 가공식품, 단 음료 섭취가 많을수록 위험 증가.
2. 소아 당뇨의 증상
제1형과 제2형 당뇨병의 증상은 유사하지만, 제1형 당뇨병은 급성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제2형 당뇨병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1) 제1형 당뇨병의 증상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거의 또는 전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 전형적인 증상 (3P 증상)
- 다음 (Polydipsia, 심한 갈증)
- 체내 수분이 소변으로 빠져나가면서 지속적인 갈증이 생김.
- 다뇨 (Polyuria, 잦은 소변)
- 혈당이 높아지면서 신장이 혈당을 배출하려고 시도함.
- 야간뇨 (밤에 자주 화장실 가기) 발생 가능.
- 어린 아이의 경우 **야뇨증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증상)**이 새롭게 나타날 수 있음.
- 다식 (Polyphagia, 과도한 식욕 증가)
- 세포가 혈당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신체가 에너지를 얻지 못해 지속적으로 배고픔을 느낌.
✔ 추가적인 증상
- 체중 감소 (Weight loss)
- 몸이 지방과 근육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면서 체중이 감소함.
- 아이가 잘 먹는데도 불구하고 살이 빠지는 경우 의심해야 함.
- 피로감 및 무기력 (Fatigue, Weakness)
- 세포가 포도당을 사용하지 못해 에너지가 부족함.
- 복통 및 구토 (Abdominal pain & Vomiting)
- 심한 고혈당과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DKA)이 동반될 경우 발생.
- 호흡 변화 (Kussmaul respiration)
- 심한 케톤산증이 있을 경우, 깊고 빠른 호흡이 나타날 수 있음.
- 혼수 (Diabetic coma)
- 심한 고혈당과 DKA가 진행되면 의식 저하가 발생할 수 있음.
(2) 제2형 당뇨병의 증상
제2형 당뇨병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며, 초기에 별다른 증상이 없을 수도 있음.
✔ 주요 증상
- 다음, 다뇨, 다식 (3P 증상)
- 피로감 및 무기력
- 체중 증가 또는 감소
- 흑색가시세포증 (Acanthosis nigricans)
-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검게 착색된 피부 변화가 나타남.
-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된 증상.
- 시력 저하 (Blurred vision)
- 상처 치유 지연 (Delayed wound healing)
3. 요약
구분제1형 당뇨병제2형 당뇨병
발병 원인 | 자가면역성 β세포 파괴 | 인슐린 저항성 및 상대적 인슐린 분비 부족 |
발병 속도 | 빠르게 진행 | 서서히 진행 |
주된 원인 | 유전, 환경적 요인, 자가면역 | 비만, 생활습관, 유전 |
주요 증상 | 3P(다음, 다뇨, 다식), 체중 감소, 피로, DKA | 3P 증상, 흑색가시세포증, 비만 |
치료법 | 인슐린 필수 | 생활습관 개선, 약물 치료(메트포르민 등) |
소아 당뇨의 경우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가 다음, 다뇨, 다식,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즉시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질문 주세요! 😊
반응형
'Medical Tea (생활 속 의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산과 염기, 균형 에 대하여 ! 몸이 산성일 때, 염기성일 때 증상은? Acid base homeostasis balance (0) | 2025.04.11 |
---|---|
1. The General Definition of Homeostasis, examples of disturbances. (0) | 2025.04.05 |
산욕기 정리 (0) | 2025.02.07 |
임신 중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변화 (1) | 2025.02.07 |
1. 산부인과 검진, 평가 (0) | 2025.02.03 |